나는 배웠다
<오마르 워싱턴>
다른 사람이 나를 사랑하게 만들 수는 없다는 것을.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사랑 받을 만한 사람이 되는 것뿐임을 사랑을 받는 일은 그 사람의 선택에 달렸으므로.
나는 배웠다. 마음 깊이 배려해도 어떤 사람은 꿈쩍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신뢰를 쌓는 데는 여러해가 걸려도 무너지는 것은 한순간이라는 것을. 누구와 함께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우리의 매력은 15분을 넘지 못하고 그 다음은 서로 배워가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내 자신의 최대치에 나를 비교해야 한다는 것을. 또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보다 그일에 어떻게 대처하는가가 중요하다는 것을.
무엇을 아무리 얇게 베어내도 거기엔 늘 양면이 있다는 것을. 어느순간이 우리의 마지막이 될지 모르기 때문에 사랑하는 사람에겐 언제나 사랑의 말을 남겨놓고 떠나야 함을. 더 못 가겠다고 포기한 뒤에도 휠씬 멀리 갈 수 있다는 것을.
결과에 연연하지 않고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는 사람이 진정한 영웅이라는 것을 나는 배웠다. 깊이 사랑하면서도 그것을 드러낼 줄 모르는 이가 있다는 것을. 내게도 분노할 권리는 있으나 남을 잔인하게 대할 권리는 없다는 것을. 멀리 떨어져 있어도 정이 계속되듯 사랑 또한 그렇다는 것을. 그래도 그들을 용서해야 한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남에게 용서를 받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고 자신을 용서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는 것을.
아무리 내 마음이 아프다 해도 이 세상은 내 슬픔 때문에 운행을 중단하지 않는다는 것을. 두 사람이 다툰다고 서로 사랑하지 않는게 아니며 다투지 않는다고 해서 사랑하는 게 아니라는 것도. 두 사람이 한 사물을 보더라도 관점은 다르다는 것을. 결과에 상관없이 자신에게 정직한 사람이 결국 앞선다는 것을 친구가 도와달라고 소리칠 때 없던 힘이 솟는 것처럼 자신의 삶이 순식간에 바낄 수도 있다는 것을. 가장 아끼는 사람이 너무 빨리 떠나 버릴 수도 있다는 것을. 나는 배웠다. 남의 마음을 아프게 하지 않는것과 내주장을 분명히 하는 것을 구분하기가 얼마나 어려운가를. 사랑하는 것과 사랑 받는 것의 진정한 의미를.
가까운 지인이 보라고 한 책을 읽다 보니 이렇게 좋은 시가 있었다. 내가 늙은 것일까?. 내가 살아 온 세월의 뒤안길에서 이렇게 마음에 와 닿는 시를 이제사 느끼게 되다니... 부질없이 감성이 짓무를 만큼의 서정시에 빠져 써지지 않는 詩 하나 써 보았으면 했는데 오마르의 시를 읽고 나니 많은 게 헛것임을 느낀다. 나는 현실을 벗어난 무른 감성에 너무 매달려 마음을 다잡지 못하고 아파한다. 그도 병이려니 하지만, 지금 저무는 나이에 드니 알 수 없는 회한에 가끔 혼자가 된다. 오늘 아침 높다란 창공의 새털구름을 올려다 보다 늘 시린 마음을 안고 살면서 외로움에 겨워 술에 취하고 싶어하는 벗이 그리웠다 울컥 눈물나는 마음을 참으며 그에게 멧세지를 남겼다. " 하늘이 멀어선가 자주 마음이 시리다. 그리움은 무엇일까? " 아직도 난 견딜 수 없이 깊은 그리움이란 치명적인 毒을 품고 살지만 오늘은 이 詩를 읽으며 푸르른 그리움의 그림자를 밟고 서 있다.
2007.10.11일. 먼 숲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