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숲에서 오솔길까지

이월의 그림자

먼 숲 2007. 1. 26. 08:21
 
 
 

'먼 숲에서 오솔길까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살을 앓던 긴 겨울의 동굴을 나서면

                                                     얼었던 햇빛이 녹아내리면서

                                                     반짝이는 눈부심에 현기증이 인다

                                                     푸석한 얼굴에 마른 버즘이 피고

                                                     죽어간 생각의 각질들이 떨어져 내려

                                                     동면을 털고 나오는 자리는

                                                     털갈이 한 짐승의 움터처럼 황폐하다

                                                     겨울내 짓눌린 하중으로

                                                     푸른 욕망은 압화된 채

                                                     밀어 논 책갈피에서 잠자고

                                                     뜨거운 심장은 양서류처럼

                                                     최소한의 온도를 유지하며

                                                     들리지 않는 맥박으로 뛰고 있었다

 

                      껍질을 벗고 나오는 벌레처럼

                      우울의 동굴을 나서는 이월의 문 밖은

                      어둠과 밝음의 대비가 명료해

                      빛을 보면 슬퍼지기도 한다

                      이월의 끝은 이렇게

                      비척거리며 겨울잠에서 깨어나

                      다시 거울을 바라보는 아침 여섯시다

                      차가운 겨울끝 바람으로 세수를 하고 나니

                      해빙의 물소리가 이명처럼 들린다

                      아직 깨어나지 않은 내 안의 그가

                      기지개를 펴고 하품을 하려 한다

 

                      이월은 겨울과 봄 사이의 휴지기다

                      인고의 시간을 지난 모든 생물에게

                      잘 견디였다고 반가움의 안부를 묻는다

                      이제 움추린 어깨를 펴고 어딘가를 나서야 한다

                      겨울의 동굴은 깊고 어두웠다

                      밖을 나선다는 건 새로운 아니마를 찾아

                      무엇을 보고 찾고 느끼는 것일거다

                      봄은 권태로움을 거부한다

                      잉태하지 않은 새로움의 탄생은 없다

                      지금 내가 꽃 피울 싹은 무엇일까

                      푸른 잎이 필 꽃눈을 찾아야 한다

 

                                         한 때 난 이렇게 동굴같은 어둔 세월을 보낸 적이 있다

                                         사막의 유배지에서  돌아갈 날을 꿈 꾸며

                                         고독하게 생의 봄날을 기다린 날이 있었다

                                         그것도 황금같던 청춘을 거세된 짐승처럼

                                         막막하게 낭비하며 몇해의 봄을 상실했다

                                         자고 나면 머리맡에 쌓이는 황사의 버석거림처럼

                                         도태되는 시간의 조각들을 쓸어 버려야 했다

                                         혼자라는 건 바람처럼 자유로웠지만

                                         스스로 방치할 수도 있어 부표처럼

                                         목표없이 표류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았다

 

                                         사는 건 때때로 오류의 그림자를 지켜보며

                                         다시 봄을 기다리는 반복으로

                                         후회없이 앞으로 나아가야만 했다

                                         빛 바랜 세월의 바다를 건너

                                         또 다시 태동을 느끼는 봄을 맞으며

                                         설레이지 못하는 둔감한 나이에 섰지만

                                         멀게나마 마음의 강 상류는 얼지 않았다

                                         요즘은 삶도 꽃샘추위로 변덕스런 날들이지만

                                         그러한 꿈틀거리는 변화가 생을 느끼게 한다

 

                                         황사가 오기전에 이월의 봄길을 나서고 싶다

                                         언제나 사람의 오고감이 없는 새벽의 거린 춥다

                                         그러나 그 길엔 동행하는 내 그림자가 있다

                                         언길을 녹이며 오는 봄의 촉촉한 발자욱이 있다

                                         꽃이 피는 먼 기별처럼 봄 안개가 자욱하다

                                         이월의 문 밖에서 내다보는 삼월은

                                         청보릿빛으로 파랗다

 

 

 

                                         2006.2.20일   먼   숲

 

 

                                                                     

 

 

                                                                                          사진 김민수 기자

 

 

 


가시가 있는 것은 여리다  (0) 2007.01.26
알을 깨라  (0) 2007.01.26
고로쇠(骨理水)나무  (0) 2007.01.26
겨울 방학  (0) 2007.01.26
집으로 가는 길  (0) 2007.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