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읽는 詩

환 상 통 / 김 신 용

먼 숲 2009. 6. 4. 12:22

 

 

 

 

 

 

 

 

 

 

 

환 상 통(幻相痛) 

                                                        김  신  용

 

           새가 앉았다 떠난 자리, 가지가 가늘게 흔들리고 있다

          나무도 환상통을 앓는 것일까?
          몸의 수족들 중 어느 한 부분이 떨어져 나간 듯한, 그 상처에서
          살을 꼬집으면 멍이 들 듯 아픈데도, 갑자기 없어져 버린 듯한 날

          한때,
          지게는, 내 등에 접골된
          뼈였다
         本質의 단단한 이질감으로, 내 몸의 일부가 된
         등뼈.

         언젠가 
         그 지게를 부수어버렸을 때, 다시는 지지 않겠다고 돌로 내리치고 뒤돌아섰을 때 
         내 등은,
         텅 빈 공터처럼 변해 있었다

        그 공터에서는 쉬임없이 바람이 불어왔다

        그런 상실감일까? 새가 떠난 자리, 가지가 가늘게 떨리는 것은? 

        허리 굽은 할머니가 재활용 폐품을 담은 리어카를 끌고
        골목길 끝으로 사라진다
        발자국은 없고, 바퀴 자국만 선명한 골목길이 흔들린다

        사는 일이, 저렇게 새가 앉았다 떠난 자리라면 얼마나 가벼울까? 

        물끄러미 쳐다보고 있는 창 밖,

        몸에 붙어 있는 것은 분명 팔과 다리이고, 또 그것은 분명 몸에 붙어 있는데
        사라져 버린 듯한 그 상처에서, 끝없이 통증이 스며 나오는 것 같은 바람이 지나가고

        새가 앉았다 떠난 자리, 가지가 가늘게 흔들리고 있다 


 

 

 

 

   

 

 

 

    ■  점점 살아갈수록

                    비어 있는 자리. 비어 가는 자리를 느낀다

                    문득 내 그림자를 되돌아 보듯

                    어딘가에 또 다른 내가 있거나

                    이미 부재중인 사람의 존재를 느끼게 되어

                    섬짓 되돌아 보기도 하고 그리워하게 한다

                    그럴때마다 마음에 서늘히 저려오는 통증

                    허허함의 빈 자리에서 그늘진 환상통을 본다

 

                    어쩌면 우린 숙명적인 이별 앞에서

                    많은 헤어짐을 연습하며

                    나와의 관계로 인한 남겨진 빈 자리를 아물리며

                    자신의 통증을 치유하며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때론 사랑하는 사람이 남기고 간 아픈 자취로 인해

                    삶은 더욱 쓸쓸하거나 외로울지도 모른다

 

                    그림자

                    지울 수 없는 존재의 부재들

                    그 저린 환상통을 안고 산다

                    여름의 그늘이 깊어간다

                    어느날 푸르른 그늘에 갇혀

                    신열처럼 끓어 오르는 환상통을 삭히는 날도 있을 것 같다

 

                    문득 어둔 나무 그늘속을 걸어오는 긴 그림자를 본다

                    문득 명치께가 시려오는 알 수 없는 통증이 나타나는 초여름

                    젖은 우울같은 소나기를 기다린다

  

 

                    2009.6. 5 일    먼     숲

 

 

   

 

 

 

 

 

 

 

'바람이 읽는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 수 / 김 춘 추  (0) 2009.06.25
못자리에 들어가는 못물처럼 / 장 석 남  (0) 2009.06.09
신록예찬 / 이 양 하  (0) 2009.05.11
구름에서 내려오다 / 이 기 철  (0) 2009.05.04
그 봄 비 / 박 용 래  (0) 2009.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