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읽는 詩

추억의 푸른 이끼 / 장병천

먼 숲 2007. 1. 29. 09:59

'바람이 읽는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억의 푸른 이끼

 

 

 

                                                          장 병 천

  

 

               낡고 하찮은 것들은
               때때로 얼마나 끈질긴 힘이던가
               한 때의 추억이 더 이상 길이 되지 못하는
               이건 아니라고 고개 휘휘 젓던 그 길에서도
               자잘한 일상이나 응어리들을 모아서는
               묵묵히 자리를 넓혀가는 
               새파란 청춘도 아닌 것이
               또다시 새 길을 닦는다
               철거당한 영세민들인가 
               그늘진 세상의 한쪽 끝에 터를 잡고서는
               밝은 쪽의 어떤 힘에 대항하여
               서로의 빈틈을 최대한 좁혀서는 악착같이 
               아주 조금씩 양지 쪽으로 뿌리를 뻗는다
               평생 음지 쪽에서만 살아본 것들이 내뿜는 물기는 
               저리도 절실하고 투명한가
               미처 새기지 못한 지난 날의 아픔처럼
               세상이 밝을수록 더욱 파릇파릇 빛이 난다

 


               -시집 ‘추억의 푸른 이끼’(한국문연)

 

 

 

 

 
                                                                                         <사진 서성석님>
 
 
 
                 ■  어딘가로 돌아갈 곳 없어도 돌아가고픈
                     추석이 다가옵니다.
                     달이 차오르듯 내 마음의 만월로 환한 곳
                     그 고향은 어딘지 가고 싶습니다.
 
                     메밀꽃이 소금처럼 핀 햐얀길을 가로질러서
                     누렇게 벼가 익어가는 황금벌판 사이 길로
                     코스모스가 행길가를 수놓은 먼지나는 황토길을 따라서
                     내 마음의 고향이 어딘지 가고 싶습니다.
                     어머니의 얼굴이 보름달처럼 떠오르는
                     가르마같은 그 길을 가고 싶습니다.
 
                     언제부턴지 고향마을이 사라지거나 비어져가고
                     가족이란 단위가 가벼워지면서부터
                     명절의 의미도 퇴색해 버린 지금이지만
                     유년의 추억을 가진 우린 아직도
                     마음 가득 추석의 그리움이
                     햇과일처럼 주렁주렁 매달려 있습니다
 
                     초가을볕처럼 환한 곳의 반대편엔
                     밝음에 대비되는 어둡거나 외로운 응달 또한 깊습니다
                     같이 나눌 수 없는 외로움
                     사랑하는 사람들과 모여 웃을 수 없는
                     혼자의 고독 또한 상처처럼 아린 때입니다
                     고속도로가 꽉 막히는 오고감의 한 가운데서
                     오고가지 못하는 외로움도 돌아보고픈 날입니다
 
                     올 추석은
                     모두 밝은 달처럼 환하고 즐겁게 보내시길 바램합니다
                     돌아오는 마음길엔 모두 행복이 가득하길 바랍니다.
 
 
                     2005.9.15일  먼   숲
 
 
 
 
 

장 마 / 최 옥  (0) 2007.01.29
백 담 사 / 이 성 선  (0) 2007.01.29
추 운 산 / 신 대 철  (0) 2007.01.29
얼음수도원 2 / 고 진 하  (0) 2007.01.29
겨 울 잠 / 한 도 훈  (0) 2007.01.29